저출산대책4 2023년·2024년 신혼·출산가구 혜택 4가지 총 정리(+국토교통부) 목차 • 출산가구 혜택 총정리 • 부모급여 • 청약통장 • 출산가구 청약요건 완화 • 신혼·신생아 특공 구입·전세 자금 대출 ৹ 2023년·2024년 신혼·출산가구 혜택 4가지 2023년·2024년부터 결혼과 출산·예정인 가구에 대한 정책이 개선되어 혜택이 달라지는 저출산대책의 대표적인 4가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현행과 개선에 대한 차이와 시행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৹ 부모급여 구분 0세 아동 1세 아동 내용 2023년 70만원 35만원 • 만 0세 : 부모급여 70만 원에서 보육료 51만 4천 원을 제외한 18만 6천 원 현금 지급 • 만 1세 : 부모급여 35만 원에서 보육료 45만 2천 원 제외 시 보육료가 더 크기 때문에 지급 없음 2024년 100만원 50.. 2023. 9. 12. 올해 2분기 합계출산율 0.7명, 대책은 있나 8월 30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3년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명의 예상 출산 수)은 0.7명으로 집계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상반기에 높고 하반기에 낮으니 3분기부터는 이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반면 혼인 건수는 상반기 10만 1704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9.2%나 증가했지만 이는 코로나 확산에 미뤄진 결과로 엔데믹 이 후 계속 상승추이를 보입니다. 정부도 이를 실감한듯 관망하기만 하지 않고 저출산대책을 대폭 개선하며 정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에선 '2024년 예산안'에 저출산 극복을 위해 내년 17조 5900억 원을 투입하는 등 올해(14조 원)보다 25% 이상 늘려 적극적으로 대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만 0세 ~.. 2023. 9. 1. 출산가구 공공주택 청약요건 완화, 저출산대책 끝판왕 출산가구 공공주택 청약요건 완화 최초 적용되는 신생아 특공과 우선 공급은 내년 4월 이후 입주자 모집 공고가 나오는 아파트부터 적용된다고 합니다. 구입에 필요한 자금 대책도 중요하고, 그에 맞는 정책도 정말 중요하겠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기회일 것입니다. 기회가 없다면 많은 정책과 구입 자금에 대한 정책도 쓸모가 없겠죠. 구입이나 임대에 필요한 자금은 저출산대책으로 출시한 특례대출을 이용하면 저금리로 최대 5억까지 가능합니다. 이전 글에서 작성해 두었으니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최대 5억 특례대출 출시, 자격조건 및 대상 알아보기 최대 5억 저금리 특례대출 출시 예정 2년 이내에 임신•출산을 증명하면 우선•특별 공급을 신청할 수 있어 '내 집 마련'의 문턱이 낮아질 예정입.. 2023. 8. 31. 바뀌는 청약통장과 특공 정책,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이유 청약통장 내 집 마련의 꿈을 꾸고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가입해 봤을 만한 청약통장이 있죠. 가능한 공급에 신청하기 위해 내 집 마련을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도 합니다. 각기 다른 이유로 청약통장을 유지하고 계신 분들에게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으니 3분만 투자하시어 바뀐 정책을 잘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과거 부부가 동일일자에 청약에 당첨되었을 경우 둘 다 무효되었던 경우나 자녀가 셋인 경우에만 특공에 신청할 수 있었던 정책이 대폭 완화되고 새로운 기회가 주어져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저출산대책에 걸맞는 정책 변경이라고 생각이 들 정도인데요. 쉽게 비교해볼 수 있도록 자료를 정리했습니다. 이 정도면 청약통장의 새로운 열풍을 불 정도의 변경사항인 것으로 보이는데요. 예전에 비해 주변에 3자녀.. 2023. 8. 30. 이전 1 다음